보고서 편

 

1. 시뮬레이션 했으면 숫자만 띡 쓰지말고 그 결과에 대한 discussion을 하라. 이렇게 했더니 얼마나 향상되었고, 앞으로 무엇을 더 할 것이며, 이런 내용.

 

2. 비교할 때는 기준을 같게 하라.

 

3. PPT 글자크기는 단계별로 통일되도록.

 

4. 시뮬레이션 조건과 결과를 잘 구분할 것.

Posted by 원도르
,

 

Conversion, Equili, Gibbs 반응기 비교.hwp

 

Conversion, Equili, Gibbs 반응기 비교.xlsx

Posted by 원도르
,

안박사님의 공정설계 레슨-20120727-0728

 

증류탑 설계

 

1) 증류탑 spec 설정시, 원하는 물질의 순도를 조건으로 설정할 것이 아니라, 원하지 않는 물질의 조건의 mass percent를 예를들어 0.1%로 잡고 계산하는게 편하다.

 

2) 나머지 하나의 spec은 주로 reflux ratio로 두고 계산 하는데, mole 단위로 할때도 있고, Liq flux 로 두고 할 때도 있다. 보통 빡세게 돌리는 경우는 5~10정도 주고, 가볍게 돌려도 되는 경우는 0.5~1 정도의 값을 주고 하시더라.

 

3) 증류탑의 pressure drop 은 100mmH2O per tray로 잡더라.

 

4) 증류탑 콘덴서를 partial vapor type으로 지정했을 때는, Reflux를 심하게 주면 에러남. 왜냐하면, 바로바로 날아가는 애들을 억지로 붙잡기 위해서 엄청난 콘덴싱을 한다고 계산하므로. 아마 마이너스 절대온도 까지 내려가버릴껄...

Posted by 원도르
,

2012년 7월 26일 안박사님과 랩미팅하면서 배운 점 정리.

 

1) Cooling system

공장에서 고온의 물체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시킬때, 보통 열교환기에 냉각수를 흘려보내 냉각시키는데, 이 냉각수는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쿨링타워라는 곳에서 냉각시킨다. 실제로 공장에 가보니까 한 3~4층 되는 높이에서 물을 폭포처럼, 떨어뜨려 냉각시키는 걸 볼 수 있었다.

한국의 여름 낮 평균기온은 한 33~34도라고 치고, 재순환한 물이 떨어지며 식는 온도가 그보다 3도 정도 높은 37도라고 하자.  결국, 37정도의 물이 다시 열교환기로 흐르게 되는데, 예를들면 한 300도 되는 hot stream을 이 냉각수를 이용해서 냉각시킨다고 했을때, 최대

 

Cooling tower에서 냉각되는 냉각수 는 한국 여름기준 기온이 32~33도 정도이므로, 기온으로부터 최대 3도까지 근접한 37까지 밖에 식힐 수 없다. 열교환기에서 최대로 줄일 수 있는 hot과 cold의 온도차를 10~12도로 정한다면, 결국, 300도짜리를 냉각시킬 수있는 최저 온도는 50도 정도라는 소리가 된다.

 

즉, 시뮬레이션을 할 때 보면, 뭐 10도씨 이렇게 입력하는것은 클릭 몇번이면 되니까 아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고 하게되는데, 이런 현장감각을 항상 기억하고 시뮬레이션에 임하자!

 

2) 실제 유닛이 어떻게 설치될 것인지 고려할 것.

예를들면 온도를 크게 높여야 하는 것이면, 열교환기를 따로 설치할 것이고,

뭐 반응 도중에 온도를 유지하는 정도면 코일을 감아서 히팅하면 되는것이고,

이런 것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서 열교환기를 따로 그릴 것인지, 아니면 반응기의 온도조건만 바꿀 것인지를 정한다.

 

3) 액체는 펌프, 기체는 콤프레서. 이건 알고 있었지만,

기체가 응축되서 액상이 되면 이건 펌프로 보내야한다.

 

4) Flash나 Decanter는 보통 duty를 0으로 두는 Adiabatic조건을 많이 한다.

여기에 온도를 급격히 낮춘다던가, 급격히 높히는 것은 힘든 일이다.

 

5) 고압으로 응축된 기체에 온도를 낮출때는, 구지 열교환기를 안써도,

트로틀 벨브로 압력을 낮추는 방법으로 쉽게 냉각시킬 수 있다.

고압 혼합기체를 기액분리할 때 이렇게 하더라.

요 원리가 Joule-Thomson effect였던걸로 기억함.

 

 

Posted by 원도르
,

<기초이론>

U0=the overall coefficient based on the outside area of the tube, W/m^2℃

h0=outside fluid film coefficient, W/m^2℃

hi=inside fluid film coefficient, W/m^2℃

hod=outside dirt coefficient (fouling factor), W/m^2℃  역수로 쓸때가 많다.

hid=inside dirt coefficient, W/m^2℃

di=tube inside diameter, m

do=tube outside diameter, m

 

wall temperature 구해야 하는 이유 :  h=c Re^0.8 Pv^0.3 (u/uv)^0.14 에서 마지막 term 이게 점도 비율인데, 보통은 무시. 만일 온도변화에 따라 점도가 달라진다면, h값이 바뀌게 되므로, wall temperature를 구해서 점도 고려해야함.

 

온도차 -> LMTD구하기 -> U값은 table에서 찾기 -> 전열면적 계산.

 

fouling factor는 깨끗한 정도.

열교환기의 reboiler의 경우 녹 등이 다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더럽다. hod 값이 작다.

 


 

<shell and tube 열교환기 설계>

1. Baffle

Baffle의 설치 : Tube plate에 환봉(rod)을 돌려서 고정하고 -> spacer를 끼운 다음 -> baffle을 하나 넣기 -> 다시 spacer -> 다시 baffle.... 이런 순서로 고정. 마지막에 환봉을 고정할때는 double nut를 써야함(single nut는 spacer를 압착하는 효과가 생겨버림)

 

Baffle의 역할 : ① Tube의 지지역할(tube가 1.2m이상 길어지면 축 늘어짐. 그리고 유체가 흐를때 진동발생)

② 유속을 빠르게 해줌.

 

Baffle 간격에 따라 열전달 계수 바뀜

Baffle 너무 많이 넣으면 Baffle 틈새로 유체 흐를경우 생김 -> 전열계수 오히려 떨어짐.

 

Baffle 종류 : (a) Segmental, (b) Segmental and strip, (c) Disc and doughnut, (d) Orifice

(a)를 많이 쓴다. (d)방법은 tube의 support역할을 못해주므로, 잘 안씀.

열교환기 내에서 응축이 발생할 경우 baffle의 하단에 구멍을 내어 응축액이 흐를수있게 해준다.

 


2. 열교환기 구조

Fixed-tube plate : 분해가 불가능하므로 shell이 한번 오염되면 청소불가

 

U-tube : 분리가능하므로 tube사이 청소가능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front, rear side를 분리할 수 있게 만든다.

단, clamp ring이 없는 경우, wall과 tube의 간격이 너무 멀어져서 tube 사이사이로 유체가 흐르지 않고 주위로만 돌 경우, 전열이 잘 안될수있다.

clamp ring을 이용하여 wall과 tube사이의 간격을 줄이면 위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아직 정확한 차이점 모르겠음)

 

Tube 배열 방법 : 3각, 4각, 있는데, 3각은 솔이 들어갈 틈이 없으므로 청소하기 힘들다. 청소 고려한다면 4각으로 할 것. 단 집적율 떨어짐.

 


3. Tube

BWG로 두께 얘기함.

두께 클수록, 내경 좁아지고, 그럼 청소하기 어렵다.

TEMA R:원자력 등 위험물 다룰때 , TEMA C:값이싸고 안위험할때, TEMA B:일반화학공정

3/4이하는 잘 쓰지 않음.

3인치 이상은 잘 쓰지 않음.

 

Tube sheet에 tube를 고정하기 위해 (a)welding(용접) (b)홈이 파인 틈 을 이용하는데,

용접의 경우는 주의할 점이 있다.

열교환기 특성상 온도차가 많이 발생하고, 100℃차이시 1m당 1.2mm의 수축팽창 일어남. 따라서 만일 용접을 할 경우 그 부위에 10000kg/m2의 응력이 발생 --> 용접부위 쉽게 터진다.

따라서 홈이 파인 곳에 tube를 넣고, tube속에 롤러를 넣어 돌리면서 힘을가하면 홈으로 밀리면서 고정이 된다. 만일 tube속의 물질이 매우 위험하여 절대로 세면 안된다고 한다면, 홈으로 고정을 하고, 주위에 welding을 살짝만 하도록 한다.

Posted by 원도르
,

요즘 기웃거리고 있는 연구전문 소셜네트워크인 Research gate에서 재미있는 질문을 발견했다.

 

"What is a major difference among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다양한 답들이 올라왔는데, 답들이 재밌다.

 

Michael Dickman (ㅋㅋ 이름이 웃기구만)

Technology : 불은 음식을 조리할때 쓰일 수 있다.

Science : 나무를 연소시키면 열과,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음식의 단백질을 변성시킨다.

Engineering : 손쉽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화로와 굴뚝을 만든다.

 

Robert Baber

Science asks the question, why?

Engineering asks the question, why not?

Technolog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how?

 


그밖에 다양한 의견들.

debate 중에 새롭게 알게되는 것도 많다

 

Jeffon Liao

Science: It is to know why. First, It tries to ask question. It is to simplify question, ignoring the relatively umimportant details. It is to continue to find the relative correct answer (but ever can not reach the absolutely correct answer). It normally can not bring profits instantly and directly. It cares about repeatability, does not care about reliablity.
For a top scientist / researcher, it may be more important to at ask good/simple questions rather than find a answers. Innovation is more important than proficency.

Technology: It is to know how. It tries to present feasible solutions for a kinds of application/situation. For example, IC technology can teach you how to make an IC from sands.
Normally, Technology is a combine of several Science research results. For example, while developing IC technology, you shall learn chemistry and physics, you shall research why and how semiconductor can control current, and you shall research how to purify silicon, how to photoengrave, how to make a copper trace on silicon, etc.
Comparing with Research, a valuable Technology shall consider more practical issue, such as cost, timing, skill capability, environment, etc.

Engineering: It is to implement and earn profit. It implement Technologies for a certain products/application. Good Engineering shall take more constraints into account comparing with Technology, such as marketing/custom requirements, project schedule, cost/profit, process, documentation, rule and law, etc. Reliability is extremely important, Engineering shall ensure result matchs 99.9999% expect (6 Sigma).
A good engineer shall be good at implementing existing mature Technology, seldom to use inchoate technology. Proficency is more important than innovation for most Engineering (For some certain areas it is reverted. iPhone is an example).

Engineering implements Technologies, and Technologies are from Science.

 

Merab Zukhbaia

@Jeffon Liao How do you think, does today technology comes only from science ? I ask this question, because during the history there were developed several technologies like fire, for example, which wasn't the product from science...

 

Behnido Calida

@ Merab: There are several other examples (like the fire example) perhaps throughout our history about technological knowledge that came about by chance (e.g. as others have referred to as serendipitous discoveries). While I do not discount that possibility, I still believe that our understanding of "fire" was later enhanced as the relevant science was discovered, evolved or matured. Take note that the overlapping systems of processes for both science and technology are dynamic and continuously evolving.

I have my thought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nd later on with engineering) which I can trace back to even more lengthy philosophical debates involving the history of science and knowledge. Over the years, it has become cumbersome to delineate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my research, the consensus understanding is that science can be further categorized as either basic science and applied science. While it is true that basic science overlaps with applied science, which in turn overlaps with technology, the overlap still does not imply that the concept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one and the same. There IS such a thing as basic science(e.g. such as set theory, quantum theory, particle physics, etc.) which until recently have only started to find its own niche of practical application. But the main take away points are that, 1) knowledge from basic science were cultivated for their own sake by people who are yet unable to come up with any definitive practical ideas, and 2) science is a public good whereas technology is (sad but true), to a large extent a private good. The latter being my main distinction between the differ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Now, how do I relate this to the concept of engineering? In my view, science and technology interact,...and in one of the many possible ways of interaction, I would define "engineering" in relation to a formal practice or discipline of deploying certain knowledge, theories, methods and techniques based on a bounded set or configu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solve a given problem. Before the main knowledge flow was typically initiated within the basic sciences and outward to produce technological artifacts. As evidence for these, we see the birth of various engineering disciplines such as chemical,electrical, telecommunications and nuclear engineering among many others. But nowadays, it is quite common as well to find practitioners push for their own engineering disciplines as a result of their common technological practice (to later back track towards the sciences) such as the case of biotechnology, genetic engineering, etc. Either way, engineering refers to the actual practice or deploy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Deogratias Nurwaha

"Engineering is quite different from science. Scientists try to understand nature. Engineers try to make things that do not exist in nature. Engineers stress invention. To embody an invention the engineer must put his idea in concrete terms, and design something that people can use. That something can be a device, a gadget, a material, a method, a computing program, an innovative experiment, a new solution to a problem, or an improvement on what is existing. Since a design has to be concrete, it must have its geometry, dimensions, and characteristic numbers. Almost all engineers working on new designs find that they do not have all the needed information. Most often, they are limited by insufficient scientific knowledge. Thus they study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mechanics. Often they have to add to the sciences relevant to their profession. Thus engineering sciences are born

 

Matthew Hartline

As per my professor:
scientists make no assumptions.

Engineers state assumptions, then go from there.

 

James Tadaro

Well, if your Professor is a scientist, and thinks that scientists make no assumptions, he has not examined even his own thought processes. If he is an Engineer, then he is likely trying to provoke, in classic Greek tradition, thoughtful debate among his students.

All science begins with someone noticing 'Something' he doesn't understand. The next step is that he creates an hypothesis about what (and why) that 'Something' is, or is doing, or has done, or will do. Thus 'Hypothesis' is simply another word for 'Assumption', dressed up in a suit for its job interview, and which needs to be tested.

Scientists then move on to 'Interview" the candidate 'Hypothesis' , aided by whomever they call upon as experts from other departments. All of this is aimed at Accepting or Rejecting each candidate Hypothesis for a position in their Intellectual Organization.

Regardless of what the Good Professor may claim, ALL Science started with one or more assumptions, which were to then tested.

The Engineer takes each of Science's successful candidates and puts them to work on various projects, and is quietly grateful that he has Scientists to do the boring drudge-work , while he gets to do the really cool, interesting stuff that has never, ever, been done before, and was always considered impossible. Like going to the Stars.

 

 

Posted by 원도르
,
http://adnoctum.tistory.com/

 

매틀랩 ode 푸는법을 검색하다가 알게된 블로그.

 

주인장이 바이오&전산분야 박사과정인거 같은데, 자신의 전공분야에 대해 아주 수준높고 꼼꼼하게 정리해두었다. 그리고 공학 뿐만 아니라 철학적인 사색도 즐겨하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놀라웠던 점은 댓글에 대한 정책을 정해두었다는 것인데, 그 규칙으로 자신의 글에 동조하는 글은 지양하고, 반박의 글을 환영한다는 점에서 이 블로거의 확고한 자의식을 느낄 수 있었다.

 

비록 철학적인 글들은 걸음마 단계였지만, 글 하나하나에서 이 블로거의 가치관을 느낄 수 있었고, 같은 공대생으로써 저렇게 확고한 자아를 확립하지 못했다는 것에 머리가 숙여졌다. 공대출신으로 확고한 자아를 성립해도 저렇게 향기가 날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덕분에 좋은 motivation이 되었다. 내자아의 허물을 한꺼풀 벗겨준 Adnoctum에게 감사한다.

 

 

 

 

 

Posted by 원도르
,

나라는 사람에 대해 주변 사람들이 떠올리는 이미지는 각기 다르다.

연구소에서의 이미지
학교에서의 이미지
집에서의 이미지
친구들에게 각인된 이미지
여자친구에게 각인된 이미지
각기 다른 주체들이 각기 다르게 나를 평가하고 생각하고 있다.

나는 한명인데, 왜 나를 다르게 보는 걸까?
그리고 나는 왜 각기 다른 사람들 앞에서 다르게 행동할까?

저렇게 많은 가면(persona)을 시도때도 없이 바꾸어야 하는 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다.

때로는 하나의 가면(페르소나)을 쓰고 연기를 하다가, 갑자기 다른 가면을 보여주던 상대방과겹치게 되었을 때, 나는 어떤 가면을 써야할지 당황하게 된다.

이런 살얼음 딛는 듯한 변면놀이속에서 나는 몸을 움츠리고 더욱 작아지게 된다.

나는 사람들이 요구하는 대로 나의 가면을 만들었고, 때문에 지쳐갔다.
때로는 나 자신도 모르는 동안 만들어진 가면 속에 나를 억지로 끼워맞춰야할 경우도 있었다.

이 모든 것의 근원은 모든 가면을 벗고 나란 사람을 보여주었을 때,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진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이 아닐까?
나란 존재는 과연 그렇게 추한 존재인가?

남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살겠다고 다짐하던 나였는데,
정신을 차리고보니 어느새 누구보다도 많은 가면을 쓰고 살고 있었다.

나는 그렇게 추하지 않다.
수많은 가면을 그만 벗어두자.

중심을 잡고 진정한 나를 찾자.
나를 감추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원석을 보여주자.

Fresh한 원석을.

'생각들 > 인간과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가르는 사람들  (0) 2012.12.10
정확히 모르는 것을 답하는 자들  (0) 2012.08.01
Posted by 원도르
,

내가 제일 좋아하는 흑형가수인, Eric Benet ~~
논문쓰느라 그에게 잠시 소홀했던 사이, 정규엘범을 2장이나 내놓으셨네 ;;

The One에 수록된 title곡 Harriett Jones를 듣고 있는 중인데,

아 오랜만에 귀가 즐겁다 ~~~

뮤비를 봤는데 따로 영화를 찍진 않았고 그냥 가사를 리듬에 딱딱 마줘서 보여주는 뮤비였다.
나름 괜찮았음.

다 듣고나니 귓속을 계속 맴도는 어절이 있는데,

"Swing Low Swing Low Sweet Harriett"

이부분에서 Swing Low가 뭘까 하고 이리저리 찾다보니

예전에 "Swing Low Sweet chariot(마차)"라는 유명한 흑인영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노래는 그 흑인 영가를 패러디(?) 한 것.
Swing low sweet chariot이란 가사의 뜻은
마차가 너무 덜컹거리지도 않고
기분 좋게 흔들리면서 자기 고향으로 간다는 내용.
나를 고향으로 데려가 주오, 나의 사랑스런 짐마차여.
뭐 이런 내용의 흑인 영가다.(daum 지식 참고)
CCM이란 소리도 본것 같고...나중에 들어봐야지.

토니카끄,

Harriett Jones의 가사를 자세히 읽어보진 않았지만,
계속 "Let me come home" 이란 말이 나오는걸로 봐선, 좀 야한 내용 같긴한데 ;;

암튼 멜로디는 좋다 ㅋㅋ

 

 

 

뮤비가 있는 곳
http://blogs.centrictv.com/music/soulsessions/new-music-eric-benet-harriett-jones/

다음지식인용한것
http://k.daum.net/qna/view.html?category_id=QNE001&qid=2hD7c&q=swing%20low&srchid=NKS2hD7c

'취미 > Sing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의 원리를 보컬에 적용  (0) 2018.10.05
Posted by 원도르
,

여수 EXPO에 2번 갔다온 소감.

먼저 첫번째는 거의 사전조사없이 가서 예약제란 것이 있는지도 몰랐다. 그래서 가장 볼만하다던 아쿠아리움, 한국관, 대우조선해양관 등은 구경조차 못하고 인기없는 파키스탄 이딴대다 기웃대다가 돌아와야했다.

두번째는 작정을 하고 정확히 출발 한달 전 새벽에 일어나 새벽 5시 KTX를 예매해서 아침일찍도착할 준비를 했다. KTX예매를 마치고 엑스포 현장예약을 하려는데... 이게 왠 날벼락, 갑자기 예약제가 없어진 것이다!!  황당...

어찌됐건, 뭐 인터넷 예약제가 사라졌다면 일찍가서 현장예약이라도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하고 안심하고 있었는데, 막상 그날 가보니 이미 인터넷 예약제는 다시 '몰래' 부활되어 있었고, 고대하던 현장예약제는 없어졌다고 한다;;

대체 뭐 어쩌자는겁니까? -_- ;; 현장예약제는 왜 없엔겁니까?
인터넷 할줄 모르는 사람들은 가서 구경도 하지 말란 말인가?
가보니까 어르신들도 상당히 많이 오셨던데, 인터넷에 익숙치 않으신 어르신들은 어쩌란 말이오? 구경도 하지말란 겁니까? 그리고 노인분들 정말 힘들게 기다리시던데, 차라리 노인분들을 위한 자리라도 좀 많이 만들어 두지 길바닥에 퍼질러 앉게 만드나? 거참...

그리고 무슨 운영방침이 이렇게 시도때도 없이 바뀌나?
국가적인 행사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귀가 얇아서야 원...
운영방침을 정할때는 진짜 신중하게 모든 상황을 시뮬레이션해보고 정했어야 했고,
또 한번 정한 규칙은 누가 욕을 하건간에, 끝날때 까지 고수했어야지!

그리고 아니, 최소한 바뀌었다고 문자로라도 좀 알려주던가! 나만 새됐잖아!

뭐 그날 일찍 도착한덕에 다행히 아쿠아리움은 1시간 걸려서 겨우 보긴 했다만;

아무튼, 미흡하기 짝이 없는 엑스포 운영방식에 화가 치밀어 올랐다.

'생각들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사람들은 여유가 없다  (0) 2014.10.02
돌아이 질량보존의 법칙  (0) 2013.09.03
이슬람 친구를 관찰하며  (0) 2012.08.02
문관 vs 무관  (0) 2012.06.19
Posted by 원도르
,